Server
[Linux] 서버에 사용자를 추가하고, 관리자 그룹에 추가하기
kiritoni
2025. 3. 10. 22:10
반응형
우분투 리눅스 서버에 사용자를 추가하고, 관리자 그룹에 추가해보자.
1) adduser [사용자명]
CentOS에서는 useradd와 adduser가 동일하지만, ubuntu의 경우 두 명령어가 약간 다르다.
ubuntu에서는 useradd가 순수하게 계정만 생성해주고, 기본 쉘인 sh가 생성되며 끝이 난다.
반면에 adduser는 계정 생성 시에 비밀번호 및 기타 정보를 입력받고, 홈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된다.
따라서 ubuntu에서는 웬만하면 adduser를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다!
sudo
현재 사용자가 sudo(Superuser Do) 권한을 가진 경우, sudo를 사용하여 루트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.
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는 보안 강화를 위해 일반 사용자가 직접 root 계정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. 대신 sudo를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도 관리자 권한을 일시적으로 획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2) usermod
usermod는 디렉토리 /home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변경해준다.
사용자의 홈 디렉토리, 그룹, 유효기간 등을 변경할 수 있다.
-aG
- -a(append): 기존 그룹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그룹을 추가한다. 만약 -a 옵션 없이 -G sudo toni 를 실행하면, 사용자가 기존에 속해있던 다른 그룹이 제거될 수 있다.
- -G(groups): 사용자를 특정 그룹에 추가하는 옵션이다.
3)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기
- id [사용자명] 명령어를 실행하면, 사용자가 속한 그룹 목록이 출력된다.
- groups [사용자명] 명령어로도 사용자의 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.
위와 같이 잘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반응형